Code/필기

VPN 접속 후 dev 페이지에 접근이 안 되자 개발자가 요구한 사항.

홀로수키 2024. 6. 28. 16:54

상황 :

  • 모기업 운영 퍼블리싱 작업을 인수인계 받음.
  • vpn 연결 후 dev 페이지에서 화면 확인 후 운영 서버에 업로드

문제 :

  • vpn 연결을 했으나 dev 페이지 접속이 안 됨. 

해결 : 

일단 vpn 접속 완료 후 개발자가 전달한 tracert dev.------.com 코드를 cmd창에 입력했다.

 

tracert 라는 명령어 뒤에 dev 페이지 url을 붙이고 실행.

 

(-----시간이 조금 걸림----)

 

화면 캡쳐 이미지를 개발자에게 전달.

개발자가 이케저케 해결.

dev 페이지를 확인 할 수 있게 됨.

 

캡쳐한 화면 ↓

 

 

궁금하다 :

cmd창에서 tracert dev.------.com 명령어를 실행하면 

' 최대 30홉 이상의 dev.------.com [] (으)로 가는 경로 추적 : '

이라는 문구가 뜬다.

 

여기서 궁금한 부분!

  • tracert 명령어는 어떤 기능을 하는가 ?
  • 30홉의 의미가 무엇인가?

 

바로 GPT에게 여쭤봤다.

 

GPT의 답변 내용 정리 :

1. tracert 명령어 의 기능

'tracert 명령어는 네트워크 경로를 추적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정 목적지(예: 웹사이트 또는 IP 주소)까지 패킷이 도달하는 데 거치는 경로를 보여줍니다.

 

- 경로 추적: 패킷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데 거치는 모든 라우터(홉)를 표시

- 지연 시간 측정: 각 홉 사이의 왕복 시간(RTT)을 측정하여 각 구간에서의 네트워크 지연을 확인

- 네트워크 문제 진단: 경로 중 특정 구간에서의 지연이나 패킷 손실을 파악하여 네트워크 장애 지점을 찾아낼 수 있음

 

tracert [옵션] [목적지 주소]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패킷이 각 홉을 거칠 때마다 해당 라우터의 IP 주소와 응답 시간이 표시됩니다.

(출력화면은 캡쳐 이미지와 같다)

 

각 행은 패킷이 거친 홉을 나타내며, 각 홉에 대한 세 번의 응답 시간이 표시됩니다.

-d: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확인하지 않고 IP 주소만 표시합니다.

-h: 최대 홉 수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30입니다.

-w: 각 응답에 대한 대기 시간을 밀리초 단위로 지정합니다.

 

2. 30홉의 의미

"30홉"이라는 용어는 네트워킹에서 데이터 패킷이 소스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동안 거치는 중간 장치 또는 네트워크 노드의 수를 의미합니다. 각 홉은 라우터나 스위치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를 통과하는 단계를 나타내며, 이러한 장비들은 패킷을 올바른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최대 30홉 이상의 경로 추적"이라는 문구는 데이터 패킷이 최대 30개 이상의 중간 노드를 거쳐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추적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네트워크의 복잡성과 규모를 반영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또 궁금한 부분을 GPT에게 여쭤봄)

  • 데이터 패킷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입니다. 데이터를 작은 크기로 나누어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입니다. 각 패킷에는 전송되는 실제 데이터(페이로드)와 함께 목적지 주소, 출발지 주소, 순서 정보 등을 포함하는 헤더가 있습니다. 데이터 패킷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의 기본 단위로, 파일이나 메시지를 작은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조립합니다.
  • 네트워크 노드 :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장치를 의미합니다. 컴퓨터, 서버, 라우터, 스위치, 프린터 등이 모두 노드에 해당합니다.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중계하는 역할을 합니다. 노드 간의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가 형성됩니다.
  • 라우터 :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로,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최적의 경로를 선택합니다.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의 경로를 결정하며,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관리하고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합니다. 네트워크 계층 장비로, 주로 인터넷이나 광역 네트워크(WAN)에서 사용됩니다.
  • 스위치 :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로, 주로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에서 사용됩니다.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적절한 포트로 전달하여 네트워크 내의 장치 간 통신을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 장비로, 다수의 포트를 가지고 있으며, 각 포트는 개별 장치나 네트워크 세그먼트에 연결됩니다.
  • 중간 노드 : 소스와 목적지 사이에 위치한 모든 네트워크 장비를 의미합니다. 라우터, 스위치 등이 중간 노드에 포함됩니다. 패킷을 다음 홉으로 전달하여 최종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합니다. 경로 추적에서 중간 노드는 패킷의 진행 상황을 보여줍니다. 네트워크의 경로를 구성하며, 네트워크 성능과 신뢰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테이터 패킷, 네트워크 노드, 중간 노드..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지만 전부를 이해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이번에 마주친 문제 (VPN 접속 후 서버에 연결하는 과정) 해결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